전체 글
-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 전기 차단은 가능할까? 그 영향은?코인동향 2018. 1. 11. 10:30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채굴과 관련하여 중국 소식은 큰 이슈입니다. 중국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소를 전면 금지시킨 이후 성에 차지 않았는지 채굴장의 전기를 끊겠다는 엄포를 놓고 있는 상황이지요. ICO를 불법으로 규정한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따라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거래소마저 금지시킨다면 사실상 경제 민주화를 포기하고 중국과 같은 노선을 타겠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보입니다. 국내 거래소 금지는 아무래도 힘들 거라 봅니다. 중국 암호화폐 채굴 금지는 가능한가?사실상 채굴장 운영은 어마어마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채굴에 있어서 높은 GPU 성능을 가진 컴퓨터들이 끊임 없이 연산을 해내며 마이닝을 하면서 드는 전기 소모가 상당한 것이죠. 전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채굴장들..
-
리또속 주의보 - 리플(Ripple, XRP) 3천원대는 위험합니다.알트코인 2017. 12. 30. 19:00
리플(Ripple / XRP)이 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세력이 펌핑했다고 보는 것이 가장 이성적인 판단이라 여겨지는 그래프를 계속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 거래소에도 마진 거래가 가능하다면 공매도를 걸고 싶은 심정이네요. 금일(2017/12/30) 업비트 기준으로 3,750원까지 치솟았던 리플, 과연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리플(Ripple, XRP) 일봉차트 : 업비트 캡쳐 리플이라는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을 사러 들어온 입문자들이 리플의 가격을 보고 연습 삼아 먼저 사보는 케이스가 참 많은 그런 암호화폐이죠. (가상화폐라는 말 대신 암호화폐라는 용어를 씁시다.) 그럼 리플의 역사를 한 번 보고 갈까요? 2012년, 미국 샌프란치스코 탄생한 리플의 발행 한도는 100,000,000,000개로 매우 많..
-
암호화폐 용어 사전 정리 - 김프, 존버, 리또속 등은 무슨 말이지?암호화폐 2017. 12. 30. 03:20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사람들은 그들만의 커뮤니티에서 쓰는 언어가 있습니다. 급식체도 아닌 코인체라고 불러야 할 것 같은 김프, 존버, 리또속 등 얼핏 들어서는 그 뜻을 유추하기 쉽지 않은 단어들이 오가곤 하죠. 그래서 암호화폐(가상화폐라는 말은 그만 씁시다.)에서 통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해봤으니 그들의 대화를 이해하는 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김프 - '김치 프리미엄'의 줄임말로, 한국 거래소에서만 유독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가격이 높게 책정된 상태. '코프'라고도 부르고 최근 김프가 강한 채로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역프 - 이와는 반대로 한국 거래소보다 글로벌 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이 높은 상태. 보통은 이 때에 한국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여 글로벌 거래소로 전송 후 테더를 충전해두곤 한다...
-
비트코인을 사려면 2천만원이 있어야 하나요? 1개 이하는 살 수 없나요?비트코인 2017. 12. 18. 03:28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열기에 동참하고 싶은데, 2천만원이 없어요. 1개 이하는 살 수 없나요? 비트코인에 관심을 보인지 얼마 안 된 분이라면 당연히 갖게 되는 의문점입니다. 특히 증권사를 통해 주식 거래를 해본 분들이라면 주식을 1주 이하로 쪼개서 구매하는 개념이 아니다보니, 이 글을 쓰는 기준으로 1개에 2,170만원인 비트코인을 구매하기 위해선 2천만원이 있어야 하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겠죠.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발 담글 수 없었겠죠? 소수점 단위로 쪼개어 매수할 수 있기에, 2,000만원이 없어도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기준으로 최소 주문금액이 500원이고, 빗썸은 신규 가입을 하면 천원을 주는데 이 금액으로도 비트코인을 살 수 있는 것이죠. 천원이면 약 0..
-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수수료 비교 -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거래소 2017. 12. 17. 01:44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는 이미 수십개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거래량이 많은 대표적 거래소는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입니다. 이들 거래소는 증권회사와 마찬가지로 각자 다른 수수료로 운영이 되고 있지요. 암호화폐 거래소는 주식 주문과 다르게 매수, 매도 모두 수수료가 적용되고, 증권사보다 비쌉니다. 그럼에도, 요즘과 같이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단타 거래를 하는 개미투자자가 많기에, 이들 거래소가 챙기게 되는 수수료는 상당한 수준이 되죠. 물론, 그만큼 보안과 서버 등에 투자하는 금액도 큽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수수료들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빗썸 bithumb.com - 0.15% 빗썸의 수수료는 0.15%인데, 고객 감사 쿠폰을 적용하면..
-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소 자율규제안 설명 및 기자간담회 규제안코인동향 2017. 12. 17. 01:05
외국에도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사회적 부작용에 대해선 자율 규제안 등으로 합리적인 운영이 되는 사례들이 많지요. 우리나라는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 있고, 이에 따라 우려의 목소리가 큰데 특히나 세금을 걷고 싶어하는 높은 분들께서 더욱 큰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블록체인협회준비위원회에서 자율규제안과 공동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바로 2017년 12월 15일 암호화폐 거래소 자율규제안 설명 및 기자간담회에서 진행되었죠. 정부 합동TF의 권고가 있었고, 관련 업계와 은행권 의견을 취합하였다고 합니다. 국내 암호화폐(가상화폐라는 말 대신 정확히 암호화폐라고 지칭합시다.) 거래소 14개사가 참여했다고 하는데, 이렇게 많은줄은 저도 몰랐네요. 빗썸, 코인원, 업비트, 코빗 정도만 알고 있었지... 1인 1..
-
가상화폐 긴급대책 - 불법 규정이나 결국 인정하고 관리하는 방향으로코인동향 2017. 12. 13. 16:36
얼마 전 가상화폐(암호화폐라니까 왜 자꾸 공식적으로 가상화폐라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틀린 건 아니지만 암호화폐가 아닌 것도 포함되는 개념이 가상화폐입니다.) 금지 라는 자극적인 기사가 비트코인의 가격을 폭락장으로 만들어놓았을 때, 이는 매수기회라고 언급한 적 있습니다. 오늘 12월 13일, 기재부, 법무부, 금융위, 방통위, 공정거래위, 과기정통부 등이 참석하고 국무조정실이 주재한 가상화폐관련 긴급 차관회의에서 나온 이야기를 요약해보겠습니다. 일단, 가상통화 거래행위는 유사수신업으로 규정하여 불법이 맞지만, 일정 조건들을 갖춘 거래소에서는 이용이 가능하게끔 규정하게 됩니다. 블록체인 등 우수한 기술은 막는 데 일조하면 안된다는 건 잘 알고있는듯한 분위기로, 소비자보호나 거래래투명성 확보 등의 조건에 부합..
-
비트코인 하드포크 사기극 - 플래티넘과 허이섭 사건코인동향 2017. 12. 11. 17:05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지대한 관심 속, 이를 이용한 사기 등의 범죄 행각도 자행되고 있으니 늘 주의하고 모든 정보는 출처를 정확히 파악하여 이성적인 판단을 해야합니다. 실제로 코인 관련 가짜 뉴스 기사나 펌핑 목적의 허위정보가 종종 돌고 있으며, 커뮤니티와 그룹카톡 등을 통해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 사건으로는 비트코인 플래티넘이라는 코인으로 하드포크가 진행될 것이라는 공식 채널로 보였던 트위터에서, 한국의 경기고 허이섭이라는 학생이 루머를 통한 가격 상승과 그에 따른 시세차익을 노린 자작극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시장은 혼란이 왔습니다. 하지만 그 사건 자체가 사실상 비트코인 가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기 보긴 어렵고, 한국에선 커뮤니티를 통해 퍼져나가면서 단기적으론 영향이 좀 있..